오늘의 주제
- switch문 사용해 보기
일곱 번째 시간입니다.^^
지난 번에는 if 조건문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.
이번에는 또다른 조건문인 switch문에 대해 알아보도록 할게요 ㅎ
스따뚜!!!
switch
자, 일단 만들어 봅시다. 지난번 if문 할 때 만들어 놓았던 프로젝트를 열어 봅시다.
이번에는 switchNumbers() 라는 함수를 만들거예요.
빨간네모를 따라 코드를 작성해 봅시다.ㅎㅎ

위의 코드의 실행 결과 화면입니다.

switch문의 작성법은 이렇습니다.
switch(대상 변수)
{
case 정수 혹은 문자 :
// 실행할 명령문
break;
case 정수 혹은 문자 :
// 실행할 명령문
break;
case 정수 혹은 문자 :
// 실행할 명령문
break;
default :
// 실행할 명령문
break;
}
`자,
switch문은 주로 정수형의 변수가 어느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지 검사할 때 쓰입니다
if문과 다른 점은 크거나 작다에 대한 비교를 하기 보다는, 딱 어떤 변수가 어떤 수일때 실행. 을 목표로 하는 조건문입니다.눈치 채신 분들도 계시겠지만,
case안에 해당되는 수가 없으면default에 있는 명령어를 실행합니다.그리고 모든
case아래에break명령어가 있는 것이 보이실 텐데요,break문이 없으면 아래에 있는 모든 것들을 다 실행하라는 의미로 받아들여집니다.한 번
break없애고 실행해 보세요 ㅎㅎㅎ 어떤 참사가 일어나는지..^^위의 코드에서는
i가 어떤 수인지 알아보는 코드가 되겠네요.
i가5또는10또는17중에 하나에 해당되면 거기에 맞는 명령이 실행될테구요, 만약 해당되는 것이 없으면default에 있는 것을 실행합니다.
if조건문과switch조건문의 특징을 잘 숙지하시고 알앚게 효율적으로 사용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^^사실
if문 보다switch문의 사용법이나 규제가 좀 더 까다롭지만,if - else if - else if - else...를 한없이 늘어놓는 것 보다 훨씬 간편하게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.즉, 때에 따라 적절히 ^^
by yagom
p.s 제 포스팅을 RSS 피드로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