옵셔널 체이닝
옵셔널 체이닝
옵셔널 체이닝은 옵셔널의 내부의 내부의 내부로 옵셔널이 연결되어 있을 때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습니다. 매 번 nil 확인을 하지 않고 최종적으로 원하는 값이 있는지 없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.
[embed]http://www.youtube.com/watch?v=UANvklNnDeg[/embed]
옵셔널 체이닝은 옵셔널의 내부의 내부의 내부로 옵셔널이 연결되어 있을 때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습니다. 매 번 nil 확인을 하지 않고 최종적으로 원하는 값이 있는지 없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.
[embed]http://www.youtube.com/watch?v=UANvklNnDeg[/embed]
인스턴스를 생성하는 이니셜라이저와 클래스의 인스턴스가 소멸될 때 호출되는 디이니셜라이저 그리고 그와 관련된 것들에 대해 알아봅니다.
init
deinit
[embed]http://www.youtube.com/watch?v=E2Yy3gp9_Nk[/embed]
스위프트의 상속은 클래스, 프로토콜 등에서 가능합니다. 열거형, 구조체는 상속이 불가능합니다. 스위프트는 다중상속을 지원하지 않습니다.
이번 파트에서는 클래스의 상속에 대해서 알아봅니다
[embed]http://www.youtube.com/watch?v=T60mxyxxdys[/embed]
우분투에 스위프트 설치를 시작으로 이후 두 포스팅에 걸쳐 퍼펙트에 대해 조금 알아보았습니다.
프로퍼티는 클래스, 구조체, 열거형과 연관된 값입니다. 타입과 관련된 값을 저장할 수도, 연산할 수도 있습니다.
[embed]http://www.youtube.com/watch?v=aVGgy29-gOY[/embed]